미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0.25% 포인트 인상
3월 22일 미 연방준비제도(Fed)는 금융 혼란을 야기하는 은행 도산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인상했습니다.
연준은 은행 시스템이 "건전하고 탄력적"이라고 평가했지만 파산의 여파가 향후 몇 개월 동안 경제 성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
연준은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경제주체의 차입비용을 높이고 있지만, 지난해부터 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은행 시스템이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.
이달 들어 실리콘밸리은행과 시그니쳐뱅크 등 2개 은행이 파산했는데 금리인상에 따른 자산손실이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.
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은행은 보유 채권에 대해 걱정합니다. 은행은 높은 채권 대 자산 비율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금리에서 상당한 잠재적 손실 위험에 직면합니다.
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 은행의 평가
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에 해당하는 정책금리를 종전보다 0.25%포인트 인상하기로 했습니다. 이에 미국 기준금리는 4.75~5.00%로 높아졌습니다. 최근 실리콘밸리은행(SVB) 파산 등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 후폭풍이 나타나면서 결국 속도조절에 나섰습니다. 한국은행도 추가 금리인상까지 시간을 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고 합니다.
한미간 기준금리 차이가 벌어졌지만 속도가 늦춰지면서 조금 더 면밀하게 상황을 지켜볼 수 있게 됐습니다. 최근 발표되는 경제지표들도 미국 경제기 금리 인상을 버틸 수 있는 체력을 갖췄다는 평가에 힘을 보탰습니다. 물가 상승률이 점차 낮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입니다.
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가 4.75~5.00%까지 올라왔기 때문에 올해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은 0.25%포인트 인상 ‘단 한번’ 남은 셈입니다.
미국 연방준비제도 향후 기준금리 전망
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.25%P 인상하며 지난달에 이어 두 차례 연속 '베이비 스텝’을 단행했습니다. 이번 인상은 금융권 위기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기준금리를 소폭 인상하는 절충안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.
실리콘밸리은행 붕괴 등 금융권 불안 사태가 이어지면서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거란 관측도 있었습니다. 하지만 동결하지 않고 소폭 상승인 0.25% 포인트를 올린 이유는 금리인상 여부와 함께 향후 금리 전망을 알 수 있는 점도표에도 관심이 쏠렸기 때문입니다.
올해 말 금리 예상치가 5.1%로 지난해 12월과 동일하다고 합니다. 그렇다면 앞으로 베이비스텝이 한 번 정도 남았다는 건데, 5월에 0.25% 포인트 인상을 하고 그 이후에는 동결을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.
파월 의장은 연내 금리인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.
한국과의 금리 격차는 최대 1.5%P, 역대 최대를 기록하게 됐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