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랑봉투법은 하청·비정규직·플랫폼 노동자의 권리를 강화하고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노동관계법 개정안입니다. 2009년 쌍용차 파업에서 비롯된 노랑봉투법은 2025년 국회 본회의 통과가 유력하며, 2026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.
왜 우리는 여전히 불안할까?
하청·비정규직 노동자는 여전히 원청의 결정에 따라 일하지만, 교섭권은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정당하게 파업을 해도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와 가압류가 뒤따라 생계가 무너지는 현실.
“노동조합에 가입해도 보호받을 수 있을까?”라는 두려움이 존재합니다.
당신도 느낀 적 있나요?
-
“내가 일하는 현장은 원청이 좌지우지하는데, 왜 교섭은 우리 회사랑만 해야 하지?”
-
“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수억 원 손해배상을 청구받았다면?”
-
“플랫폼 노동자인 나는 노조에 가입할 자격조차 없는 걸까?”
이런 불합리함 앞에서 많은 노동자들이 무력감을 느껴왔습니다.
노랑봉투법이 바꿀 것들
노랑봉투법(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)은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.
-
✅ 사용자 범위 확대: 하청·간접고용 노동자도 원청과 직접 교섭 가능
-
✅ 노동조합 활동 보호: 정당한 파업에 대한 손배·가압류 제한
-
✅ 노동조합 가입 확대: 비정규직, 특수고용, 플랫폼 종사자도 포함
실제 체험에서 출발한 법
2009년 쌍용차 파업 당시, 수많은 노동자들이 거액의 손배소에 시달렸습니다. 이를 돕기 위해 시민들이 노란 봉투에 성금을 담아 전달하면서 “노랑봉투”라는 이름이 생겼습니다.
즉, 이 법은 현장에서의 아픔과 연대 속에서 태어난 제도적 장치입니다.
시행 전·후 달라지는 점
| 구분 | 시행 전 | 노랑봉투법 시행 후 |
|---|---|---|
| 사용자 범위 | 직접 고용주만 가능 | 원청까지 확대 |
| 노조 가입 | 정규직 중심 | 비정규직·특수고용·플랫폼 노동자 가능 |
| 파업 보호 | 손해배상·가압류 위험 큼 | 정당한 활동은 손배 제한 |
| 교섭권 | 간접고용 노동자 배제 | 하청·간접고용 노동자도 보장 |
나는 해당될까?
-
원청이 결정권을 쥐고 있는 하청업체에서 일한다
-
비정규직, 파견직, 특수고용직(대리기사, 학습지 교사 등)이다
-
플랫폼 노동자(배달, 택배 등)로 일한다
-
노조 가입이나 파업에 따른 불이익이 두렵다
→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노랑봉투법은 당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.
이제는 알아야 할 때
노랑봉투법은 단순한 법안이 아니라, 노동자의 권리와 삶을 지키는 안전망입니다.
-
이 법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2026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.
-
지금이야말로 관련 정보를 숙지하고, 나의 권리를 준비할 시점입니다.
관련자료 더보기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