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 지원정책 2025 총정리, 현금성 지원과 바우처 혜택

청년-지원정책-2025-총정리,-현금성-지원과-바우처-혜택-썸네일



2025년 이재명 정부 청년 지원정책 총정리. 민생소비쿠폰, 내일배움카드, 에너지바우처, 청년월세 지원 등 현금성 혜택과 바우처를 한눈에 확인하세요. 신청 조건과 대상, 지원 금액을 최신 정보로 정리했습니다. 청년 정책 변화와 지원 시기까지 빠르게 파악해보세요.


민생소비쿠폰 전국 지급 여부와 현황

  • 현재 정부 차원의 전국 단위 민생소비쿠폰 지급 정책은 공식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.
  • 일부 지자체는 경기지역화폐, 소비지원금 형태로 시행 중이다.
  • 정책 연구 단계인 만큼 전국 확대 여부는 추후 발표를 기다려야 한다.


내일배움카드: 직업훈련비 최대 500만원 지원

  • 청년 구직자와 무직자는 국비 직업훈련비 최대 500만원을 지원받는다.
  • 훈련 참여율이 80% 이상이면 월 최대 81만원 수당도 추가 제공된다.
  • 기존 정책이지만 지원 금액과 과정 선택 폭이 확대됐다.


콘텐츠창작지원: SNS·영상 제작비 300만원

  • 유튜브, 틱톡, 인스타그램 등 개인 창작 활동에 최대 300만원 지원금을 지급한다.
  • 문화체육관광부, 한국콘텐츠진흥원, 지자체 공모사업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.
  • 청년 크리에이터의 창작 기반을 넓히고 수익화를 돕는 목적이다.


직업훈련참여수당: 저소득층 추가 지원 포함

  • 내일배움카드 국비훈련생은 출석률 80% 이상일 때 월 최대 30만원 수당을 받을 수 있다.
  • 저소득층은 별도의 추가 수당까지 지원받아 경제적 부담을 줄인다.


에너지바우처: 연간 70만원 지원, 여름 전기요금 포함

  •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, 장애인, 노인 가구 등 취약계층에 연 70만원 내외 에너지바우처를 지급한다.
  • 전기, 가스, 연료비에 모두 사용 가능하며 여름철 냉방비까지 확대 적용된다.
  •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할 수 있다.


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: 최대 80% 감면

  • 월 소득 260만원 미만 근로자가 **4대 보험료의 절반 이상(최대 80%)**을 지원받는다.
  • 10인 미만 사업장, 만 15~64세 근로자가 대상이다.
  • 영세 사업장의 고용 안정과 청년 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 확대가 핵심 목표다.


문화누리카드: 연 14만원 문화활동비 지급

  •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청년은 영화, 도서, 공연 관람에 연 14만원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주민센터, 복지로, 문화누리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며 문화 접근성을 높인다.


추가 청년 지원정책 주요 포인트

  • 청년미래적금: 청년내일채움공제 부활, 적금 납입 시 정부 매칭 지원.

  • 청년월세 지원: 만 19-34세 무주택 청년에게 월 20-30만 원, 최대 24개월 지원.

  • 공공임대·분양 확대: 청년 맞춤형 주거지원을 강화하고 무주택 청년 우대.

  • 구직활동지원금 확대: 자발적 이직자도 1회 구직급여 수급 가능.

  • 청년 교통패스: 무제한 환승형 교통패스 도입 검토 중.


정책 확인과 신청 팁

  • 각 제도는 자격, 소득 요건, 지역 조건이 모두 다르다.
  • 정확한 내용은 복지로, 고용노동부,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.
  • 특히 민생소비쿠폰과 일부 현금성 지원은 지자체 시범사업 여부를 계속 주시해야 한다.

관련자료 더보기




다음 이전